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아카이브

[교육] 오월첫동네 마을 아카이브 1차시~5차시

  • 작성자현장지원센터
  • 작성일2023/11/14 15:09
  • 조회수27
안녕하세요!

북구 대학타운형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입니다.

오월첫동네의 지속적인 발전과 마을관리협동조합의 수익 창출을 위한

마을 브랜드화 상품 개발 및 아카이빙 교육을 추진하고자

지난 9월 14일부터 10월 19일까지 현장지원센터에서

진행됐던 교육 소식을 전해드리고자 찾아왔습니다! ㅎㅎ



ㅇ


이번 교육은 9월 14일부터 10월 19일까지

매주 목요일에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되었습니다.

1차시 과정은 9월 14일에 진행되었으며

총 2교시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ㅇ


1교시는 오월첫동네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수업을

곽성용 강사님께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ㅇ


먼저 우리가 역사를 배워야 하는 이유와

역사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셨습니다.

어르신의 이야기를 기록해서 후대에게 전달하는 것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ㅇ


다음으로는 현재 우리 오월첫동네에 거주하고 계신

교육생 분들의 5·18 경험담을 함께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며

사람들의 경험을 모아 기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모두가 소통하며 진행되는 수업이 아주 뜻깊었던 것 같습니다.



ㅇ


전남대 정문이 간직하고 있는 5·18민중항쟁의 이야기와

민주열사들, 그리고 전남대민주길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셨습니다.



ㅇ


수업 중간중간, 그리고 마지막에도

강사님과 주민분들이 서로서로 소통하면서

5·18에 관해 대화하고 기억하는 시간이었습니다.



ㅇ


2교시는 오월첫동네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의 이문수 이사장님께서

'오월첫동네(중흥2동) 이야기'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셨습니다.



ㅇ


우리 오월첫동네의 역사와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해주셨어요!



ㅇ


간뎃골 영화제의 탄생 배경과 적은 예산이지만 열과 성의를 다해

제작에 힘썼던 첫 영화 '간뎃골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2023 푸드페스티벌, 청포도 행사, 물놀이, 플리마켓 등등...

정말 많은 이야기를 해주셨답니다.

이렇게 늘어놓고 보니 올 한 해만 해도 오월첫동네에서

크고 작은 일이 정말 많이도 일어난 것 같아요.



ㅇ


끝으로 우리 주민분들과 오월첫동네에 대한

많은 이야기도 나누시고 토의도 하면서

수업은 잘 마무리 되었습니다.



ㅇ


2차시 과정은 9월 21일에 진행되었어요!

우리 오월첫동네가 소재지인 스튜디오94의 허정례 작가님께서

'오월첫동네 사진 이야기'를 주제로 강의하셨습니다.



ㅇ


강사님께서는 주민분들과의 소통을 굉장히 중시하셨어요!

먼저 교육생 분들의 1분 자기소개로

수업이 시작되었답니다 ㅎㅎ



ㅇ


사진의 역사와 순광, 측광, 사광, 역광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ㅇ


강사님께서는 우리 오월첫동네의 어르신들 대상으로

무료로 촬영해드리고 모습을 담아놓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셨다고 해요!

이쁘고 환하게 웃고계시는 우리 오월첫동네 어르신들의

사진을 보여주셨습니다.



ㅇ


강사님께서 치앙마이에 강의 겸 방문하셨을때

담아오신 사진들을 소개해 주셨습니다.



ㅇ


이젠 실습타임! 교육생분들의 핸드폰을 이용해서

사진을 잘 찍기 위한 실습이 진행되었습니다 :)

직접 카메라어플을 켜서 보조선을 이용해

수직·수평을 잘 맞춘 사진을 찍어보았습니다 ㅎㅎ



ㅇ


예쁘게 셀카도 한 번 찍어보고!



ㅇ


평소 셀카를 잘 찍지 않아 어색해 하셨던

교육생분들이 셀카를 연습하며

점점 얼굴에 웃음꽃이 가득 피어나는 모습입니다 ^^

모두 환하게 웃는 모습이 정말 보기 좋죠?

환한 미소를 머금은 나를 사진으로 많이 담아놓아

소중한 추억을 가득 쌓아보세요 ㅎㅎ



ㅇ

ㅇ


우리 소통의 대왕 강사님!

역시 수업 마무리에도 소통은 빠질 수 없겠죠?

교육생분들이 모두 소감을 한마디씩 남기며

수업은 잘 마무리되었습니다.

모두 즐겁고 유익한 시간을 보내신 것 같았어요 :)



ㅇ


10월 5일에 진행된 3차시 교육!!

아이덴파트너스의 김훈섭 이사님께서

'마을 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셨습니다.



ㅇ


강사님께서는 상품 디자인 개발 사례를 들 때

실제 가지고 오신 제품을 직접 보여주셨어요!

눈으로 직접 디자인을 확인하면서 수업을 들으니

이해가 더 쏙쏙 잘 되는 기분이었답니다 :)



ㅇ


우리 오월첫동네의 브랜드 로고 탄생 배경과

오월첫동네 브랜드 응용 사례에 대해 설명하셨습니다.



ㅇ


그리고 최근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에서 출시한

오월선물세트의 디자인도 직접 보여주시면서 설명을 진행하셨습니다.



ㅇ


브랜딩과 마케팅, 그리고 상품디자인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아주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ㅇ


어느새 막바지에 다다른 마을 아카이브 교육!!

광주광역시 북구 관광두레의 김미숙 PD님께서

'지역 관광상품 개발'에 대한 주제로 총 2회차의 강의를 진행하셨습니다.

먼저 4차시 강의입니다.



ㅇ


본인 소개 및 교육 목차에 대한 이야기로 강의를 시작하시면서

수강생분들과 소소한 대화도 나누셨어요!

본격적인 수업이 시작되기도 전에 벌써부터 교감이 이뤄지는

모습이 참 보기 좋습니다.



ㅇ


지속가능한 지역관광의 의미와 관광두레 사업의 탄생배경,

관광두레 사업 소개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셨습니다.

집중해서 경청하고 있는 수강생분들의 모습이 돋보입니다!



ㅇ


다음으로는 광주 북구 주민사업체 현황 사례를

소개하고 설명해주셨습니다.

의미 있고 통통 튀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사업들의 존재를 알게 되었습니다!

수강생분들도 모두 흥미로워 하셨어요 ㅎㅎ



ㅇ



지역관광의 지속적인 발전과 자원 활용을 위해서는

지역자원을 활용한 지역관광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시면서 우리 광주광역시의 부족한 점, 아쉬운 점 등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포스트잇에 적어보고 화이트보드에 모았어요!



ㅇ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발표하며

서로 의견도 나누어 보았습니다.



ㅇ


함께 의견도 나눠보고 강사님의 이야기도 들어본 후

한데 모은 포스트잇(광주광역시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공공이 주관하면 좋을지, 민간이 주관하면 좋을지

분류해서 나눠보았습니다.

이렇게 모두의 의견을 취합하고 분류하여 가시적으로 나타내며

서로의 이견을 들어보고 이해하는 과정 속에서

지역주민으로서 할 수 있는 일, 공공과 민간의 협력 등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어 뜻깊었던 것 같습니다.



ㅇ


최근 관광 트렌드와 지역관광의 현황 및 진화에

대해 이야기하시고

타지역 주민사업체의 지역관광상품 개발 진행 행태를

사례를 들어 설명해 주셨습니다.



ㅇ


이렇게 4차시 강의가 마무리되었습니다 ^^



어느덧 벌써 아카이브 교육 마지막 회차 날입니다.

지난 차시에 이어 김미숙 피디님께서 5회차 교육까지 진행해 주셨습니다.



ㅇ


먼저 강의진행 순서와 강의 목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신 후

본격적인 수업에 들어갔습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2023 관광트렌드 키워드와

지역관광 시장 트렌드 현황에 대해 먼저 알아보았습니다!



ㅇ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해외여행이 제한되면서 그만큼

국내 관광시장이 활성화 되었다고 합니다.

그에 따라 유명관광지보다는 소도시 여행, 마을 여행 등

지역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고 하는데요.



ㅇ


로컬관광에 대해 상세히 들여다본 후

수강생분들이 직접 우리지역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답니다!

외부 손님이 오셨을 때 꼭 모시고 가고 싶은 우리 지역 장소·관광지와

외부 손님께 권하고 싶은 우리 지역의 맛집·음식 등을 적어 보았습니다.



ㅇ


선정 이유에 대해서 직접 발표하며

서로의 의견도 나누어 보았습니다.



ㅇ


마지막으로 지역관광 콘텐츠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광주북구의 관광현황에 대해서도 알아봤습니다.

여러 선진사례를 통해 아이디어를 얻고

우리 지역에 접목할 만한 게 무엇일지, 우리 지역만의 특색이나 자랑거리는 어떤 것일지

고심해볼 수 있는 아주 뜻깊은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해서 2023년 하반기에 진행된 마을 아카이브 교육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과거 없는 현재는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지금의 이 현재도 미래의 관점에서는 과거이고, 곧 역사가 됩니다.

지역 아카이빙은 단순한 역사 기록의 차원을 넘어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도 그 의의가 있습니다.

수강생분들이 이번 아카이브 교육을 통해 지역주민으로서

오월첫동네의 지속적인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고심해보는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기를 바랍니다.

5회차까지 열정적으로 강의를 진행해주신 강사님들과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해주신 수강생분들 모두 너무 고생많으셨고

감사드립니다 :)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균 5.0 35명 참여

0/100

현장스케치 QR코드 http://bukgu-univ-urc.kr/menu.es?mid=a10301000000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

  • 광주광역시 북구
  • 북구도시재생지원센터
  • 전남대학교
  • 광주도시재생공동체센터
  •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